
(비전21뉴스=정서영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8일, 서울-양평고속도로 논란의 중심지인 양서면 청계리 54-1, 즉 원안 종점 예정지를 전격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 처가인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한 권력 남용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며 특검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과거 '선거는 패밀리 비즈니스'라고 말한 것처럼, 김건희 일가의 탐욕을 위해 권력을 도구로 활용한 정황이 명백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특검을 통해 누가, 왜, 어떻게 이러한 사태를 초래하여 지난 3년간의 시간 낭비와 양평군민 및 경기도민에게 피해를 주었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지사는 출국 금지된 야당 인사의 주장에 대해 "야당 탄압이 아닌 김건희 일가가 양평군민을 탄압한 것"이라며 일축했다. 경기도는 특검의 진상 규명을 위해 자료 임의 제출 등 적극 협조할 것을 약속하며, 원안대로 사업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제대로 된 사업이 빠른 시간 내에 재개될 수 있도록 경기도는 중앙 정부와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 송파구 오금동에서 양평군 양서면을 잇는 27.0km 구간의 서울-양평고속도로 원안은 예비타당성조사까지 완료된 상태였다. 그러나 정권 출범 직후 종점이 강상면으로 변경되면서 사업비가 약 1,000억 원 증가했고, 이는 김건희 일가 소유 토지의 가치 상승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원희룡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은 사업을 백지화했고, 이는 고스란히 도민과 국민의 피해로 이어졌다.
김동연 지사는 그간 서울-양평고속도로 논란과 관련해 세 차례 입장문을 발표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해왔다. 원 장관의 백지화 결정 직후 철회를 촉구하고, 원안 이행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윤석열 정부의 공식 사과와 원안 추진, 그리고 감사원 감사가 아닌 수사를 해법으로 제시한 바 있다.